행사개요
- 공연명
- 2025 밀양강오딧세이 "칼을 품고 슬퍼하다"
- 기간
- 2025. 5. 22.(목) ~ 24.(토)
- 장소
- 영남루 및 밀양강변 일원 실경미디어 야외무대
- 창작진
- 이상훈 원작, 공동 극작, 정풍송 최희영 곡
조이킴 예술총감독, 조용수 연출, 김은민 협력연출
백지선 미디어아트, 최희영 음악감독, 최성대 안무
- 주최/주관
- 밀양시, 밀양문화관광재단
출연진
- 송일국 | 사명대사
- 민선예 | 아랑
- 조상웅 | 도쿠가와이에야스
- 서광현 | 허균, 유성룡, 중신3, Ensemble(조선군)
- 김민수 | 손현, Ensemble
- 김지강 | 이여송, 백성1, Ensemble
- 장윤호 | 도요토미히데요시, 불량도령1, Ensemble
- 왕시명 | 가토기요마사, 불량도령2, Ensemble
- 김석구 | 중신1, 불량도령5, Ensemble(조선군)
- 김지산 | 영매-지전, Ensemble(조선군)
- 박관우 | 영매-삿갓, Ensemble(조선군)
- 박준혁 | 선조, 불량도령3, 군중3, Ensemble(조선군)
- 백화자 | 사명대사어머니
- 한오지 | 밀양의어머니
- 신혜선 | 삼월이, 백성2, 군중2, 일본백성, Ensemble
- 윤경근 | 영매-도포, Ensemble(조선군)
- 임준혁 | 불량도령4, 중신2, 군중1, Ensemble(조선군)
- 조영재 | 영매-지팡이, Ensemble(조선군)
- 한승엽 | 영매-염주, Ensemble(조선군)
- 한예원 | 영매-지전, 백성3, 군중노파, 일본백성, Ensemble
- 오하율 | 어린사명
- 박수빈 | 어린아랑
- 강태운 강한솔 강희주 곽지효 곽효주 구희라 구희원 구희주 김가인 김경섭 김경자 김나율 김나진 김다현 김루아 김명연 김민경 김민규
김민지 김상호 김서윤 김선우 김성민 김세영 김소은 김수희 김순자 김아연 김장숙 김재영 김정희 김종완 김주원 김지민A 김지민B 김지연
김채빈 김채이 김채현 김태영 김하람 김하윤 김하은A 김하은B 김현빈 김현아 나호윤 남승복 노동주 노하루 도예원 문서준 문순자 문은겸
박가원 박루은 박복조 박서진 박순금 박시은 박시후 박우혁 박재현 박정순 박주희 박준흠 박지연 박지혜 박진영 박효심 백규진 백기선
백시연 변보경 손무권 손유정 손정숙 손혁준 손현서 손혜은 송시은 송진원 신민주 신영호 심민석 심성범 양민욱 양은진 엄지아 엄지연
오여준 오채연 오하준 유수민 유해진 윤석윤 윤형식 은종명 이경희 이다미 이다은 이로미 이민기 이선우 이수민 이원민 이월선 이은성
이종례 이종선 이지양 이지원 이형한 임경옥 임정민 장윤서 장희선 전지원 정민교 정민서 정빛나 정세빈 정세운 정소연 정예원 정유빈
정흥기 조관순 조성현 조예진 조연승 조영준 조정빈 조준영 조채윤 진고은 진승우 천승현 최남숙 최정호 최현서 최혜인 최혜진 하나윤
하수민 하유나 하유정 한지우 허재식 황희태 | 동네아이들, 백성들, 승병, 왜군 외 Ensemble
공연목표
대한민국 대표 실경 공연 '브랜드화', 지역경제 활성화 가여
- 봄/가을 공연 상호 간의 연계성 및 시너지 공유 공연 포맷 구축
- 밀양강오딧세이만의 정체성 유지 발전으로 브랜드 가치 제고
- 주한 외국인 및 해외 관광객 유치 마케팅으로 글로벌화 초석 마련
- 지역성(밀양인의 이야기)
-
밀양의 역사와 사실, 인물에 충실한 콘텐츠
밀양 출신의 승병, 조국과 백성을 위해 칼을 든 사명대사의 이야기
사명대사 / 아랑 / 김종직, 이 땅을 살아가던 이들의 땀과 꿈
- 장소성(영남루, 밀양강 실경공연)
-
영남루가 갖는‘역사적 의미’를 강조한 공간 활용
높고 넓은 기상과 정신을 담아냄
영남루 / 아동산 / 밀양강 / 둔치(땅)로 이어지는 계산된 시공간 활용
- 예술성(스펙터클쇼)
-
자연 환경, 기존 시설물과 조화를 이루는 아트 쇼 연출
공연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는 예술과 기술이 어우러진 뮤지컬 쇼
밀양의 자긍심과 공연의 격(格)을 높임
밀양강오딧세이는 밀양의 문화수준을 보여주는 대표 브랜드 공연